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냉정한 분위기였다.

바늘같은 냉랭함을 오랜만에 느껴보니 온 몸이 쭈뼛, 정신을 바짝 차리게 된다.

한편 상대방의 호의와 환대에만 익숙하다는 건 그만큼 내가 공적 관계를 갖지 않고 살아왔다는 이야기도 될 것이다.

나이가 50이 가까워 오는데도 말이다.

 

현재는 없는데 미래만 이야기하는 사람이 되어 버린 느낌이라, 솔직히 처참한 기분이었다.

이게 내 현실일 수도 있겠구나 싶으니 씁쓸하고....

 

하나님이 여기까지 나를 이끌고 와주셨으니, 지금도, 이후도 가 주시겠지. 사실 지금 여기까지 온 것도 내 힘으로만 될 수 있는 게 아니었으니.

그리고..냉정한 현실은 현실대로, 앞으로 이런 세상이 더 기다리고 있을지도 모르니 받아들여야겠지. 그 냉정한 세상에서 어떻게 살아남을지도. 지금 내 위치에서는 가능성 말고 지금 있는 것을 증명하여 보여줘야 한다는 것.

'살맛난다' 카테고리, 오랜만이다.

12시30분부터 저녁 6시. 중간 10분 쉬는 시간 몇 번을 제외하고 계속해서 합창 연습을 했다. 마지막 곡을 노래할 때쯤엔 머리가 띵하고 손이 좀 떨리기도 할 정도. 몰입의 시간들이 스르륵 지나갔고, 즐거웠고, 신났고, 감동적이었고, 노래하는 목소리들을 들었고, 어여쁜 모습의 사람들을 구경했다. 오랜만에 만난 친구들, 처음 본 선후배도 노래와 함께 다시 예전으로 돌아가듯 허물이 없어지는 마법 같은 시간이었다. 노래, 합창의 힘 덕분이겠지. 

평균 나이 중년인 사람들이, 토요일 11시부터 모여서 준비를 하고(그 전에도 모이기 위한 수고들이 있었다.), 김밥과 커피를 먹고, 계속 지휘자를 바라보며 노래할 수 있다는 것. 이런 우리 속에 함께 할 수 있다는 것에 감사했다.

저녁을 같이 하고, 헤어져서 집으로 돌아와 다시 현실로 돌아왔다. 공연 다음날처럼 계속 노래가 흥얼거려지고, 내 머릿속에서 쉴 새 없이 맴맴 돌았던 자잘한 고민거리와 처리해야 할 일들이 별 거 아닌 듯 가벼워진다. 이게 도파민 분비 때문인지, 아니면 무엇 때문인지, 사소한 생활의 문제들, 해야할 일들이 '그냥 하면 돼.'로 변화되고 있었다.

하루도 채 못 채운 시간으로 사람의 정신상태와 세상을 바라보는 상태가 달라지는 걸 보면, 인간은 얼마나 정신적이고 심리적인 동물인지. 나란 사람이 얼마나 그런 류의 사람인지 알 수 있게 되는 듯하다.

남편에게도 이런 시간이 필요하다는 생각, 우리 딸에게도 이런, 좋아하고 몰입하는 일에 흠뻑 빠져 지내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어릴 때 경험하는 이런 시간들은 정말 귀하겠구나, 다시 느꼈다. 재이를 좋은 곳으로 가서 참여할 수 있도록 신경을 써야할 것 같다. 그런 순간들을 가족이 함께 할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지만... 

'일상에 매몰된다', '쳇바퀴 도는 듯한 일상'. 이런 은유들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나와 남편에겐 '연구-강의-재이 돌보기' 주로 이 세 가지 유형의 일상이 너무 오랜 시간 반복되어 왔다. 재이도 비슷하겠지. 재이도 학교- 가끔의 수영/피아노 학원-영어 공부. 이 세 가지가 너무 반복되어 왔다. 우리 모두에겐 특별한 시간이 필요하다.  나는 한번 누렸으니, 남편과 재이에게도 기회를 줄 차례. 그들에게도 전환점이 필요한 여름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