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날이 불안할 때는 영화를 규칙적으로, 매일 보는 습관이 있다. 재수할 때 들인 습관인데, 한 시간 반 남짓만 들이면(특히 집에서 비디오로 보면) 적은 돈으로 현실에서 벗어날 수 있었고, 운이 좋으면 긍정적 기운도 받을 수 있고, 또 다시 현실로 돌아가기도 쉬워서 택했던 방법이다.

3일 동안 세 편의 영화를 봤으니, 불안정한가보다.


<1> 진짜로 일어날지도 몰라, 기적

01234


아이와 어른의 경계, 뭘까?

아이나 어른이나 그 층위에서 살아갈 때에는, 나름의 즐거움과 어려움을 겪으면서 살아나간다. 어려움의 차이는 양의 차이일 뿐 결코 질의 차이는 아닌 것 같다. 잘 알지도 못하면서 놀이터나 학교 운동장에서 뛰어노는 아이들을 보며, 니들은 속 편하겠다, 매일매일 무슨 걱정이 있겠니 라는 둥의 얘기는 더 이상 하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어른이나 아이나 갈등 상황에 부딪히며 살아가는 건 같은데, 재밌는 것은 갈등상황에 직면했을 때 이들의 대처 방법이 다르다는 점이다. 어른들은 갈등 상황을 뚫고 나가기보다는 '술', '친구', '취미활동'  등의 외부 활동으로 이 상황을 회피해 나간다. 어찌할 수 없다면서. 어찌보면 아이들보다 회피할 구석이 더 많은 게 어른들이기도 하고...., 그래서 삶이 찌질하기도 하다. 반면 아이들은 (적어도 이 영화에서는) 갈등이 생겼을 때,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을 생각하고 뛰어든다. 뛰어든 다음? 그 뒷 이야기는 나중에 생각할 일이다.

꿈, 기적

영화 속에 나오는 아이들만큼 바라는 것,
기적이 일어난다면 꼭 이뤄지길 바라는 게 한 가지씩만 있다면
그 사람의 나이가 마흔이든 쉰이든 그는 늙은 어른이 아닐 것이다.
애들의 눈동자는 어른보다 검고 더 크다는 엄마 말대로, 그 어른의 눈동자도 검고 클 것이다.

단순히 물리적인 나이로 아이와 어른을 경계지을 수 없다는 게, 이 영화를 보며 든 생각이다.
꿈, 기적을 품고 있는 자와 놓아버린 자가 '젊은이'와 '늙은이'의 경계선일 것이다.

나이 들어서까지 계속 꿈 꾸며 행동해 나갈 수 있고,
이에 대해 대화할 수 있는 사람이 있다면 얼마나 행복할까.
  


*이 영화의 2/3 지점에선, 약간의 '애들 로드무비' 식이 되어 좀 늘어지는 감이 있는데, 그래도 재밌었다. <카모메식당>이나 이 영화는 DVD로 갖고 있으면서 가끔씩 꺼내보면 좋겠다. 어디서 파나? 올 연말쯤 또 한번 보고 싶은 영화.

**@광화문 미로스페이스.
   낮 시간에 영화 보고, 따뜻해진 길을 걸으며 자유롭게 얘기하고 웃고, 낮술 한잔까지.
   봄 같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