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2. 18. 새벽 3: 20



2013년 1월 스페인 여행과 독일에서 나름 업무(!)를 마치고 돌아왔다.

2월 14일까지, 학회 원고 때문에 근 2주 스스로를 썩혀 가며 지내고 나니, 2월 18일이 되어 있다.


한 달 반 가량을 바쁘게만 막 달려왔고, 그동안 수많은 생각과 각성과 감정들이 뒤섞여 지나갔었는데 정리하지를 못하니 좀 답답(?)하다.

여행부터 하나하나 정리하고 기록해 두고 싶었는데, 정말 여행 돌아와서부터 영 짬이 나지를 않았다.(아주 비생산적인 회의도 해야했고, 공무원 보고서도 써야 했고, 수업계획서도 2개 올려야했다.)


오랜만에 아무 부담감없이 내일을 맞고, 새벽을 보내고, 책을 읽는 시간을 보내고 있다.

아, 참 평화로다.

아주아주아주 살 것 같고 이 시간이 꿀맛 같다.

이런 새벽 시간을 보낼 수 있다는 것에 감사하다.


강의를 준비하다가 문득 조혜정 선생님의 책이 생각나서, <<탈식민지 시대 지식인의 글 읽기와 삶 읽기>>를 다시 꺼내들어서 읽고 있다. 이미 1996년에 출간된 책이라서 그런지, 이 선생님과 나의 세대차이인지 동의하지 못하는 내용들도 더러 나타난다. 예컨대 공부하는 사람을 '학자'가 아니라 '지식인'일 뿐이라고 얘기하는 대목이 있는데, 조혜정 선생님을 이를 한탄하며 비난조로 한 이야기이지만, 이것조차 내게는 공부하는 사람을 무슨 특정 계급인냥 인식한 말로 들린다. 공부하는 사람들이 무슨 지식인인가. 그냥 직업인일 뿐이다.그저 직업이 공부하는 것일 뿐이다. 공부의 질이 어떠냐에 따라, 또 그 공부하는 사람의 관심이 어디로 가 있느냐에 따라 A는 자기가 파 놓은 우물 안에서, 무슨 말인지 타인도 자기도 잘 못 알아듣는 말을 하며 지내고, B는 우물 밖으로 나와 뭔가 이 세상에 도움을 주려고 애쓰기도 하면서 사는 게, 그 정도쯤 다르겠지 싶다. 어떤 일이든 그렇겠지만, 공부하는 사람은 잘 해야지, 잘 못 하면 정말 사회악이 될 수 있는 소지가 많은 것 같다는 생각이 부쩍 드는 요즘이다. 어쨌든, 우리의 삶을 이해하는 도구로 쓰여야 하지 않겠나.(이런 의미에서 내 일을 열심히 해야된다!)


사회학자가 쓴 이 책에는 우리의 삶을 이해할 수 있는 날카로운 도구들이 곳곳에 들어 있다. 좀 터프하기도 하지만.

어떤 때 보면, 언어학에서 특히 내가 싫어하는 몇몇 분야에서는 so, what? 하는 질문을 불쑥 하게 만드는 것들이 있다. 특히 지루한 이론적 싸움-몇몇 자기네들끼리만 하는-이나 통계 자료를 들이대면서 양적인 것이 진실인 냥 얘기하는 것들이 그렇다.


사회학자들은 이런 면에서 언어학을 하는 사람들보다 훨씬 '좋은', '유익한' 사람들 같다.=) -이쪽 세계를 잘 몰라서 할 수도 있는 말일지도 모르지만.


이 책 초반에 재미난 얘기가 하나 있었다. 모호한 것을 규정해 내니 속이 시원하기도 하고.

포스트모더니즘에서 사유와 존재의 분리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것, '불연속적 자아'의 개념 같은 것은 것.

혼란스러운 일상을 몇 개의 개념어로 규정해낸다는 게 꽤 근사하다는 생각이 든다. 


"불연속적 자아-'봉건'과 '근대'와 '탈근대'적 상황을 한꺼번에 소화해 내야 하는 제3 세계 주민의 실존을 가장 잘 표현해 낸 개념일 수 있다. 제3 세계 근대화는 세계사적으로 보면 이미 탈근대의 시작이었다."



나 역시 제3 세계 주민인가? 봉건과 근대와 탈근대를 한꺼번에 소화해내야 하잖아.

그런데 나뿐만 아니라 모든 세대들은 자신들이 '낀 세대'라고 얘기하지 않던가. 예전부터 이게 참 웃겼다.  어떻게 모든 세대들은 하나같이 자기네들이 가장 혼란스러운 때 태어났고, 자라났고, 그렇게 끼어서 살고 있다고 얘기하는 건지..... 어쩜 그렇게들 똑같은 말을 하는지.


시대와 상관없이 인간들은 시간이라는 축 속에서 살아가면서 불연속적 자아를 경험하다가 통일감을 이루는 소수의 몇몇을 빼고는, 그냥 그러다 죽는 것 같다. 이게 나인지 그렇다더라의 표상인지도 모르는 채. 구분하지도 않고 혹은 그럴 필요도 못 느끼면서......


 나와 내 친구들만 봐도 개인과 가족, 인간과 여성과 남성, 한국의 관습들 속에서 살면서 도저히 몸에 밸 수 없는 서양 문화에 대한 동경, 개인주의와 이기주의 전체주의, 이성과 감성, 합리와 정...이런 기준들 속에서 애매하게 헤매고 살고 있는 것 같다. 매우 불연속적으로. 


 저자는 자기 자신은 리얼리즘, 모더니즘, 포스트 모더니즘, 소셜리즘, 페미니즘, 포스트 콜리니얼리즘을 모두 수용한다고 말하는데, 정말일까? 2013년에도 그렇게 생각하고 있을지 궁금하다.

 

자야지.



---------------------------

<개강 전까지 할 일>

1. 공적인 일: 28일까지 투고, 강의 4시간, 사례분석 2건(매주 1건씩), 3월 4일까지 마감(?)

2.개인적인 일:

 -컴퓨터, 노트북 속 파일들 정리(삭제, 통합, 분류): 집, 연구실

 -자전거 습관 들이기

 -10 to 6

 -연구실 서류 뭉치들 정리(삭제, 분류)

- 1월 스페인 여행 사진, 기록 정리, 인화할 것 몇 장 

- 옷장 정리, 인터파크 대청소

-양수리 집에 가 있고 싶다.....[주말 이용]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