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꾸 자꾸 써야 한다.

쓴다는 행위는 나의 생각이 무엇이다라고 선언하는 행위나 마찬가지라고 하니.

현 위치를 파악하기 어렵다면, 내가 지금 어떤 행위를 하고 있는지 종잡을 수 없을 때일수록 써야 한다.

아래는, 2018년 연구계획서에 정리한 내용이다.

 

---------------------------------------

ver. 2018.02.13.

 

나는 국어학 전공자이며 사람들이 언어로 어떠한 행위를 하는지에 관심을 갖고 있다.

주된 연구 영역은 화행론, 대화분석, 이야기 분석, 의료커뮤니케이션, 면접 커뮤니케이션, 한국어 말하기 평가 등이다.

그동안 이론적 연구로는 저서한국어 정표화행 연구를 출판하였고, ‘의사소통적 특성을 고려한 정표화행의 유형 분류’,‘평가화행의 적정 조건과 화행 분류 체계 내에서의 지위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였다. 한편, 응용 대화분석 연구로는 저서면접관을 사로잡는 취업면접 클리닉융복합 연구 프로젝트인 심폐소생술 강사 면담 연구’, 의료기관 구성원의 조직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을 위한 대화분석적 연구’(과제번호: NRF-2012-S1A5A2A03-034687), ‘면접대화 연구’, ‘한국어 말하기 평가 등급 기술을 위한 기초 연구등을 수행해 왔고, 근간 10편의 의료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또한 면접 커뮤니케이션 연구와 의료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연구 결과는 각각 교육 프로그램으로 연계되어, 치의전원과 의료커뮤니케이션 학회에서 의사소통 교육 및 워크숍을 실시하였으며, 현재에도 학부생을 대상으로 지속적으로 면접 커뮤니케이션을 교육하고 있다.

이상, 응용 대화분석의 토대가 되는 이론 연구와 본 연구가 추구하는 질적 연구방법론, 대화분석론을 활용한 응용 연구 경험, 융복합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경험 및 수년 간의 커뮤니케이션 교육 경력은 이 연구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오랜만에 논문집을 훑어 보았다.

내 논문을 쓰기 위해서가 아니라 관심이 가는 것을 잡지 넘기듯 훑어 보았는데,

탄탄하게 잘 쓴 논문 몇 편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리고 요즘 내 관련 분야에서 사람들이 무엇을 논하고 있는지 확인했다.

 

코퍼스 자료들을 어디서 모으는지,

그리고 그것들을 어떤 방식으로 논증해 나가는지 등을 보며,

외곽에서 혹은 다른 사람이 안 하는 것을 한다는 식으로 다른 흐름들을 보지 않았던 내 게으름과 오만함(?) 방만함에 부끄러워졌다.

 

과거의 연구 성과를 충분히 이해하고 그 연장선상에서 내 연구를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는 것.

내 분야를 선점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앞에서 쌓아놓은 것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

 

정말 부끄러웠다.

 

 

 

+ Recent posts